정보

전문의가 되기까지.

TenTube 2024. 3. 27. 00:09
728x90
반응형

일단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하면
의사 라이선스가 주어지는데.
이는 일반의라고 함.

보통은 여기서 머물지 않고
다음 단계로 가는데.
그게 전문의 임.

일반의도 쉽지 않지만
전문의는 당연히 더 어려움.

일단 인턴이라고 해서 
1년을 하고
그담에 레지던트 라고 하는
전공의를 과에 따라
3~4년을 한다.
(3년- 가정의학, 예방의학, 결핵과/ 
그외 4년)

이렇게 해서
내과나 정형외과 같이
개업할때 과를 걸수 있는
전문의가 되는 것.

말 그대로 해당 분야의 전문 의사임.

여기서 더 나아가면
펠로우 - 라고 해서
전임의 과정을 하는데.
빅5같은 대학병원등에서
진료를 하며 실습을 하는 기간을 1~2년 더 거친다.

반응형


계산해보면..
의대 6년에
인턴 1년 (수련의)
레지던트(전공의) 4년
벌써 11년이 되야 전문의가 되는거고
깊이를 위해서
펠로우(전임의)까지 하면 12~13년이다.

20살에 의대를 가도
소위 전문가로 인정받는
전문의사가 되는 나이가 32~33임.
여기에 남자는 군대도 가야함.
군의관은 3년임.
그럼 36살...


의사 한명 나오는거..
쉽지 않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