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만약 부동산 전망이 안좋다면..상대적으로 주식인가?

TenTube 2024. 7. 21. 00:02
728x90
반응형

전날 쓴거에 좀 이어지는

내용이긴 한데.

 

부동산은 그래도

주식에 비해서 안전하고

뭔가 불패같은 느낌이 있었는데.

 

이번 ㅋㄹㄴ를 겪으면서

재택으로 전환이 되고

해보니 할만하다.

혹은 계속 재택근무 하고 싶다.

 

이런 분위기다보니

공실률이 낮아지지가 않고

수익에 따라

가격이 변할 수 밖에 없는

상업용건물의 가격이 하락.

 

예를 들어

10억짜리에

8억을 빌려줬는데

현재 7억이 되어버리면

은행등 대출자 입장에서도

손해가 나는 상황.

 

그러니 이젠 

건물이 있어도 대출할때 신중해지고

새롭게 건물을 매수할 사람도 줄어들고.

고금리와 공실률을 생각해야 하니.

 

그러니 가격은 더 떨어지고.

 

전에는 경기가 회복하면 

다시 살아날꺼라는 기대가 있었는데

지금은 이게 구조적으로

바뀌는 시기라고 보면.

이게 바닥이 아니고

더 내려갈 수도  있다는 생각들.

반응형

원래 또 떨어지면

더 사기 싫어지고

올라가면 사고싶어지고 그런다.

 

물론 미국 등의 상업부동산이 심하다고 하지만

한국도 안전하지만은 안을꺼고.

중국은 머 일반 아파트도 장난 없고.

미분양에 부도에 절반가격등..

일본도 그랬고..

 

일이란게 사무실이 꼭 필요한 업종도 

있긴하지만.

아닌 업종도 많은거라.

그리고 지금은

인구이슈도 있어서.

멀리보면 이 부동산들을

매도하려는 사람이 더 많고

(인구적으로)

매수자는 상대적으로도 적은데.

그때도 가격이 하락한다면

안그래도 살려는 사람도 적은데

더 안사려고 할듯.

 

물론 다시 이민을 어디까지 해서

인구를 충족할지는 모르나.

이역시 갑자기 늘어나거나 할것도 아니고.

 

영원한건 없지만.

지금은 정말 뭐든

마냥 좋아보이지만은 않은 시기이다.

 

그렇다고 현금은 화폐가치 하락

인플레 등으로 

온리캐쉬는 당연히 답은 아니고.

 

돈을 계속 해서 많이 버는 구조(사업이나 시스템)를

소유하고 있던가.

아님 대부분은 결국 재테크를 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근데 부동산이 예전같지 않다면.

결국 주식정도?

 

근데 이것도 사실 투자전문조직이

유리한 게임이긴 하나.

개인은 자신만의 철학이나

아님 etf 같은걸로 관리해야 하지 싶다.

 

개념확립부터 잘하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