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병원다녀왔을때 실손의료보험금 청구하기 - 외래 일자별 진료비 영수증

TenTube 2021. 11. 20. 21:11
728x90
반응형

거의 전국민이 다 있는 보험인

실손보험.

 

보통 병원 통원시 진료비 5천~1만 미만.

약처방 3천~7천정도 하다보니.

그때그때 청구하기 보단

모아서 하기 마련.

물론 가끔 까먹기도 하지만.

 

이때 보험금 청구 위해 필요한 서류 간단히 알아보자.

 

금액마다 보험사 마다 조금 달라질수는 있는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먼저 3만원 미만.

병원과 약국을 합쳐 3만원 미만일경우

일단 보험사의 보험금 청구서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병원에서 발급받아야 할 서류는

바로  "외래 일자별 진료비 영수증"이다.

 

카드영수증은 안됨.

가끔 다른걸 때주기도 하는데..

금액이 소액이라 그냥 지급해주기도 하지만.

정확한건 바로 이 "일자별 진료비 영수증" 이것이 필요.

 

보통 3년이내 통원한거 청구 가능하기에

병원을 자주 가는 케이스가 아니라면

6개월이나 1년에 한번정도 발급받는다.

그냥 통원해던 병원가서 원하는 기간얘기하면

무료로 발급해준다.

반응형

최근 1년치 혹은 2년치등 통원내역으로 해달라고 하면 즉시 해줌.

 

약국은 보통 약봉투의 영수증으로 대체가 가능해서

굳이 안떼도 된다.

 

소액일때는 이렇게 간단하지만

단일  질병으로 치료내역이 3만원 또는 10만원이상이 넘어가면

처방전을 떼야 하는경우도 있는데..

보통 처방전은 유료이다.

여기에 질병분류기호가 있는지 체크!!

 

특히 10만원이 넘어갈 경우

진단서나 소견서를 요구할 수도 있다.

728x90

그러니 이런 경우는 미리 필요한 서류를 보험사측에 확인하고

병원을 가는게 낫다.

 

입원을 했다거나 수슬을 했다면

입퇴원확인서, 수술확인서가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실비외에

입원비특약, 수술비 특약이 가입되어 있다면

입원 하루당 얼마 하는 식으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수술도 해당되는 수술을 했다면

실제 든 수술비외에 추가로 보험금 수령가능!!

 

사실 소액으로 이런거 청구하기가 은근 번거로운데..

이거 어떻게 전산이나 블록체인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 좋을꺼 같다.

 

일부러 안하는건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