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 p2e, nft, vox

디파이..메타마스크..개인지갑 장단점..특히 해킹

TenTube 2022. 1. 6. 15:03
728x90
반응형

한동안

디파이, p2e등 최근 핫한 테마들을

좀 알아봤다.

 

업비트에서 코인 사팔사팔만 몇번해보고

바이낸스, 바이비트 정도까지는 해봤지만.

탈중앙화인 디파이는 거의 안했었는데..

 

펜케익스왑등을  보니..

이자만 놓고 보면..

사실 기존 금융권과 비교가 안된다.

사채보다 더 높은 수준이라.

 

그리고 핫한 p2e게임도 해보고

아발란체쪽의 말도 안되는 이자율 (roi 5일 ..헐)도 

보면서 불안한게..

결국 해킹.

수익률만 보면 디파이가 당연히

씨파이와 비교가 안될수 있지만..

문제는 보안이다.

 

결과의 책임이 오롯이 개인에게 있는데..

과연 개인이 해커들과 다이다이가 될것인가.

 

기존 금융이나 

하나못해 바이낸스, 업비트 등은

otp, 전화인증, 이멜 인증등의 

보안절차가 있는데...

반응형

메타마스크 같은 개인지갑은 그냥 패스워드,

시드구문이 다 이다.

그래서 렛저같은거도 많이들 쓰는거 같은데..

결국 시드구문 유출되거나 

잃어버리고

패스까먹으면 겜오바.

 

애매허다.

뿐만 아니라

디스코드나 텔레그램등에서

링크 잘못타고 별 생각없이 승인눌렀다가

돈이 없어질수도 있고..

 

이건 구더기 무서워서 장못담그는 

그런 수준은 아닌거 같다.

크립토용 피씨를 일반 검색용 피씨와

구분해서 따로 쓰는 사람들도 많은듯.

 

여튼 리턴에 비해 리스크가 넘나 큰 수준.

 

물론 장점이 많지만..

보안이 아주 치명적인 단점인거 같고.

사용하는 사람은 앞으로 계속 늘어나는건

자명한 사실이고

그에 따라 해킹피해도 늘어날꺼 같다.

 

그래서 메타마스크 등 지갑을 만들고

디파이 하고 이런 거 좋은데..

수익률만 너무 생각해서 막 하기 보다는..

사전에 해킹에 대한 방비나 

분산을 충분히 검토하고 들어가는게 좋다고 생각함.

728x90

당장 높은 수익을 주고 하니

좋지만..

피해를 입으면 한순간에 0이 될수도 있고.

그게 이미 진행이 되면 돌이키기가 어려우니..

 

절대 분산해서 하고

잘모르는 사이트나 링크는 함부로 클릭하지 말고.

니모닉 시드구문등은  잘 관리하고 그래야 할듯.

 

크립토, 디파이 분야가 계속 성장이야하겠지만..

이런 보안문제등으로

중앙화 금융을 당장 대체하거나 이럴꺼 같지는 않고.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게 중요하니.

그렇다고 지나친 규제보다는 정부나 어느 기관이든 

관련 홍보나 안내등을 꾸준히 하면서

컨트롤을 해주는게 좋아보인다.

 

계속 발전하는 시장이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있으니

감내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원하지 않는 상황이 올수도 있다는걸 염두해두고

차분히 스스로 조사하고 알아보면서

해나가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