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용도지역, 지목 (토지공부)
TenTube
2023. 2. 17. 15:22
728x90
반응형
땅은
각각 모든 용도가 정해져있다.
물론 변경도 가능함.
그린벨트로 묶여있을때는
개발이 불가능한 곳이다가
해제되고 용도가 바뀌면서
개발이 가능한것처럼.
하나의 땅엔 하나의 용도가 있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도시지역에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비도시지역은
관리지역, 농립지역, 자연환경보전 지역
이 있다.
이렇게 크게 7개 용도지역이 있고
이를 또 들어가면
세분화되어 있다.
이 용도지역에 따라
땅에 지을 수 있는
건물의 바닥넓이와 높이같은
크기가 결정된다.
그리고 지을 수 있는 건물과
못짓는 건물로도 나뉜다.
일반적으로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곳은
상업지역인데 여기가 비싸고.
자연환경보전지역같은 곳은
상대적으로 싸다.
반응형
전, 답, 과수원, 대, 장 - 이런건
지목이라고 하는데
현재 땅의 사용목적이다.
즉 같은 녹지지역이어도
논으로 쓰이면 지목이 답이지만.
집으로 쓰여서 "대"인곳도 있다.
이처럼 지목도 쓰임새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용도지역이라도
전이냐 대이냐에 따라 또 가격이 다르다.
물론 보통은 대가 더 비싸다.
밭이나 논의 경우
당장 집을 지을 수는 없다.
땅을 성토도 해야하지만.
도로에도 접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로도 겨우 사람하나 다니는 길은 안되고
차와 사람이 다 다니는 폭 4미터 이상의 도로에
2미터 이상(주차장 감안하면 3미터) 접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토지투자를 하려면
이땅이 어떤 용도인지 알아야 하고
그럴려면 단어를 알아야 한다.
이처럼
가장 기본적인 용도지역을 잘 공부해두자.
다음에 계속.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