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

TenTube 2023. 8. 25. 00:07
728x90
반응형

주식투자를 할때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이란

용어를 듣게 된다.

 

보통 가치투자라고 하는것이

기본적 분석에 바탕을 두고.

차트보고 투자하는게 기술적 분석이라고 함.

 

어느게 낫다..

라는 논쟁은 계속 있고

앞으로도 있을꺼임.

 

기본적 분석은

기업의 가치를 분석해서

이게 지금의 주가와 얼마나 괴리가 있는지

혹은

앞으로 주가가 어떻게 될지.

예측하여 투자하는 것임.

 

장점은

그렇게 저평가 된 주식을 발견하면

맘도 편하고 수익도 나는 투자를 할 수 있긴한데..

 

단점은..

가치평가를 어떻게 할것이며

그게 얼마나 정확한지임.

개인이 지대로 할려면 사실 답이 없음.

반응형

기술적 분석은..

차트보고 수급, 심리 등을 보고 하는 것.

 

어차피 가격은 수요공급과 심리가 

결정한다고 보고

그거는 차트를 보면서

분석해서 투자함.

 

과거에 이러이러한 차트 움직임을 

보인 주가는

앞으로 이렇게 간다..

라는 확률과 통계로 접근하는건데.

 

골든크로스가 발생했다던가..

음봉꼬리나 양봉꼬리에 따라

세력들이 물량을 털거나 

매집한다는 신호를 알아챌수 있다거나.

 

이런건데..

 

사실 이것도 당연히

100%정확하진 않음.

 

비슷한 모양을 보인다고 해서.

그 원인과 결과가 같지는 않다.

 

그게 100%같다면

누가 돈을 잃겠나.

 

이게 정확하게

사야 하는 타이밍이고 신호다..

라고 누구나 공부해서 알 수 있다면..

누가 팔겠냐.

반대의 경우는 누가 사겠냐는..

 

근데 기본적 분석보다는

차트를 보고 하는게

뭔가 재미도 있고

쉬워보이기도 하니.

 

보통 리딩방에서는

이런 차트로 많이 하긴 함.

 

각각 

장단점이 있어서

어느 한쪽만 본다기 보다는

좀 섞어서 유리한걸 취해야 하는데.

 

만약 하나만 한다면..

그래도 기본적 분석이 낫지 않나..

란 생각이긴 함.

 

이건 개인성향에 따라 다름.

단타로 빠르게 결과를 보는 스타일은

기술적 분석이 맞을 수 있고.

어차피 길게 보고

긴호흡으로

급하게 사고팔고 할꺼 아니면.

기본적 분석이 나을 수 있고.

 

결국 주식투자는 답이 없다.

답이 없으니

이상한 리딩방같은건 하지 말자.

 

리딩방이 주식의 미래를 알고 있다면.

뭐하러 리딩방을 하고 있겠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