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oney

잠깐 경제 체크.. 유가가 오르면 옥수수도 오른다??

TenTube 2023. 11. 2. 00:02
728x90
반응형

잠깐 경제 체크.. 유가가 오르면 옥수수도 오른다??

 

2022년~2023년초에 보면..

트리플 약세다.

 

일단 달러대비 원화가 약세.

2021년부터 달러가 오르기 시작.

달러가 오르면

수입가격이 오르기땜에

결국 물가가 오르는 요인이 된다.

 

한국은 기본적으로 에너지.

즉 석유를 수입하는데 

이걸 달라로 결제하니

환율이 오르면

같은 1달러어치 석유라도 더 비싸지는 것.

(총요소생산성 상승률은 oecd 중 1위라고 하지만..

R&D투자도 많고..

연구개발을 많이 해야 생산성도 오르고

기업이익도 오르고 그래야 월급도 오르고..)

 

그럼 석유로 만드는 

거의 모든 제품이 다 오른다고 보면 됨.

(우리는 수출로 먹고 사는데..

원자재가 비싸지면 수출단가도 비싸지니..)

(참고로 유가가 올라가면

곡물가격도 같이 올라가는데..

생산, 운반비 상승도 있지만.

바이오연료로 쓰이기 땜에 그렇기도 함.

 

미국 옥수수, 대두의 40%정도가 바이오 연료용임.

기름이 비싸지니

바이오로 대체하는 거임.

여튼 기름값오르면 힘들어지는게 한둘이 아님.

사우디 증산부탁해요~)

 

그렇게 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이 오면..

이걸 잡으려면 

결국 돈의 값을 비싸게 만들어야 한다.

즉 금리를 올려야 함.

 

근데 금리를 올리면

다른 대부분의 자산이 힘들어진다.

부동산, 주식, 코인 다 마찬가지.

 

영끌해서 대출금리 3%에

5억 빌려 아파트를 사서

이자를 년 1500만원 내다가..

6%가 되면 3천을 내야 함.

반응형

월로 치면 125만원에서 250만원 내는거임.

만약 10억을 빌렸다면.

월 250내다가 500씩 내야함.

환장하는거임.

 

보통 원리금 상환은

수입의 25%까지는 괜찮다고 보는데..

월 1000번다면 250까진 ㅇㅋ이다..

근데 500번다면??

400벌면 100만원정도는 낸다쳐도.

이게 금리가 두배가 되서 200을 낸다면?

남은 200으로 어찌저찌 생활은 해도

저금은 못할듯..

 

(역으로 이래서 지금보다

집값이 15~35%정도 빠질꺼다 라는 의견도 있긴함.)

(10억짜리면 6.5억~8.5이 된다는 얘긴데..

과연 지금 상황은 어떠한가?)

(PIR로 보면 서울 아파트는 약 21배라고 함)

 

주가도 하락할 수 있는데..

일단 투자자들도 금리가 높으면

예금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사업주들은 돈을 빌려

투자하는걸 꺼리게 되니

회사가 발전이 더디게 되고.

성장을 못하니 주가가 오르기 힘들어짐.

 

옛날에는 유로도 비쌌는데.

지금은 달러가 더 비싸고

상대적으로 유로는 달러에게 밀리는 느낌이다.

 

일본은 계속 저금리로 가고 있는데

향후 모르는거지만 일단은 그렇고..

 

중국은 경제성장율과 내수 활성땜에

금리를 못올리고 있음.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금리를 올리니

세계의 돈이 미국으로 이동함.

 

미국은 물가가 엄청 올랐고.

실업율도 낮은 상황.

그러니 금리를 낮출수가 없다.

(유튜브보면 미국 물가 ㅎㄷㄷ)

 

주택가격이 올라가면

신규 건설 수요도 올라가고

그럼 인부도 쓰게 되지만..

만약 하락한다면?

 

여튼 머든

적절하게 우상향이 좋긴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