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순서는 ? 순위? 배우자나 자녀가 없다면?? 상속비율?
상속 순서는 ? 순위? 배우자나 자녀가 없다면??
상속비율?
지난 글에서
증여와 상속에 대해
알아봤는데..
쉽게 다시 한번 정리하면
살아있을때 주는게 증여.
사망으로 발생하는게 상속.
증여는
내가 받을 사람.
즉 수증자를 지정해서
줄수 있지만
상속은 그렇지 않은데..
그럼 누가 얼마나 받게 되는걸까?
기본적으로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가족의 경우는
배우자와 자녀가 상속대상으로
종결이다.
자녀가 없다면
배우자가 다 받고
배우자가 없다면
자녀가 다 받는다.
옛날에는
장남이 다 받았지만.
지금은 자녀끼리 딸이든 차남이든
비율은 다 똑같다.
다만 배우자는 좀 더 받는다.
배우자는 1.5, 자녀는 1이고
이를 합해서 분모가 되고
각자 비율이 분자가 된다.
뭔 얘기냐 하면..
만약 배우자도 있고
자녀가 3명이라면.
각자 몫은 배우자 1.5, 자녀 1씩해서
총 4.5다.
이중 배우자 상속분은 1.5/4.5이고
자녀는 각각 1 / 4.5이다.
퍼센트로 보면 배우자가 약 33%
자녀각자가 약 22%가 된다.
33.3+(22.2*3)= 100%
만약 물려받을 재산이 100억이라면
배우자몫이 33억정도고
3인 자녀 각자의 몫이 22억정도라는 얘기.
이 경우 만약 배우자가 없다면
자녀들이 33.3억씩 받게 됨.
계산하기 편한 예시를 하나 더 들면..
만약 4.5억이 상속유산이라면
배우자가 1.5억이고
3명의 자녀가 각자 1억씩 받게 되는 것.
그럼 만약
무자식 상팔자에 배우자도 없다면??
원래 상속은
내려가는 건데.
내려갈 곳이 없다면..
위로 올라간다.
즉 부모님이 생존해 있다면
부모가 받게 됨.
만약 부모님이 안계시면??
그럴땐 옆으로 퍼져서
형제자매가 받게 된다.
형제자매도 없다면..
좀 복잡해진다.
사돈의 팔촌 찾고 그렇게 됨.
그래서 가끔 영화나
드라마에 보면
얼굴도 알지 못하는
먼 친척으로부터
상속을 받아
부자가 된다는
꿈같은 얘기의 소재가 가끔 등장.
혼자사는 부자친척있나 잘 알아보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친하게 지내자.
관련해서 지난 포스팅은 아래.
https://tentube.tistory.com/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