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모주 상장일 매도하기, 시초가 형성, 시장가, 보통가 (지정가), 따상, 호가단위, VI

TenTube 2021. 9. 29. 22:07
728x90
반응형


공모주를 매도할때 
9시에 장이 시작하지만
그전인 8시반~9시에 주문을 넣을 수 있다.

공모주는 공모가의 -10%~100% 가격으로
시초가가 결정된다.

공모가가 10,000원이라면
9,000원~20,000원 사이에서 시작됨.

여기서 정해진 가격의 + - 30%범위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흔히들 얘기하는 따상의 경우
공모가가 100%. 즉 2배 따블인 상태에서 시작해
+30% 상 가는걸 말한다. (따+상)

즉 공모가 1만원이라면
2만원으로 시작해 26000원가면 따상.

만약 공모가 1만원 주식이
시초가도 1만원이라면
그날 주가는 최저 7천원에서 

최고 13000원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 사이 숫자의 원하는 가격을 직접 입력하고 
매도를 하면 된다.
20%수익보고 12000원에 팔겠다 하면
보통가(지정가)매도 선택하고

가격 입력하고 주문넣으면 된다.


주가단위에 따라 호가단위 금액이 달라지는데.
1000원 미만일땐 1원단위로 호가가 움직이고
1000~5000원은 5원단위
5000원~1만원은 10원 단위
1만~5만원은 50원.
5만~10만은 100원
10만~50만은 500원
50만 이상은 1000원 단위로 움직인다.
이거는 코스피 기준이고

코스닥은
5만원 미만은 코스피와 같고
그 이상은 최대 100원 단위로만 움직인다.

사실 굳이 외울 필요까지는 없고
호가창에서 화살표 아래위로 움직여보면
자동으로 숫자가 넘어간다.

반응형

여튼 장전 동시호가 시간이라고 하는
8시반부터 9시전에 주문을 넣을때는
가격이 정해진게 없어서
시장가는 넣을 수가 없으니
1만원 공모주의 경우
9천~2만 사이로 지정해서 넣어야 한다.

10%이상 급등락을 하면 VI가 걸리고
2분간 거래가 멈춘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ㅋㅋ)

그러나 이는 10월 부터 상장하는
공모주는 상장당일 VI가 없으니
+- 30%내에서 계속 거래하면 된다.

9시 땡하는 순간에
Vi걸리며 출발하기도 하는데..

728x90

따상 조건중 따!!인
공모가 2배로 시작했을때 그렇다.
여기서 더 갈거 같으면 기다리거나
보통주문을 넣고 기다리면 되는데.
조심할건
이때 시장가 주문넣는거..


VI가 풀리는 가격으로 체결이 되는데..
생각보다 매수주문을 대량취소하면서
낮은 가격으로 체결이 될수가 있다...
(당한적이 있음..)

그런데 어차피 당일 VI가 없어지므로
시초가 잘보고
거기에 +- 30%범위내의 보통가로 매도하거나
그냥 시장가 매도를 하면되니
이제 편해지고 좋은건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