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말소기준권리 2

말소기준권리, 말소기준등기 - 권리분석!

저당권 근저당권 압류 가압류 담보가등기 경매개시결정기입등기 경매를신청한 배당요구한 전세권. 부동산 경매에는 말소기준권리라는게 있다. 요즘은 말소기준 등기..라고도 하는데. 정식 법률 용어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이다. 경매는 권리분석이 중요하다. 권리분석이 정확히 되야 해당물건을 입찰할지 말지가 결정이 되고. 입찰하더라도 입찰가를 어떻게 해야 할지가 판단이 되기 때문. 인수할 권리가 무언지. 소멸되는 권리가 무언지 파악하는게 경매의 첫걸음. 그 기준이 되는게 말소기준권리이다. 시간상 순서가 중요한데. 대부분 이 말소기준권리보다 앞에 있으면 낙찰자 인수이고. 뒤에 있으면 소멸이다. 아무리 엮인 권리들이 많아도 말소기준 권리 뒤에 있는 것들은 어차피 소멸이라 낙찰자가 신경쓸 필요가 없다. 그래서 ..

부동산 2023.06.11

말소기준권리?

부동산 경매를 처음 공부할때 접하게 되는 단어. 말소기준권리. 정식용어는 아니라고 하는데. 뭔지 알고나면 그래도 잘 지은 단어같다. 한마디로. 이 권리 밑으로 있는건 다 말소된다. 일종의 줄세우기 비스무리한데.. 즉 낙찰자가 신경쓸 필요가 없단 얘기. 경매는 시간순서의 싸움인데. 10억짜리 아파트를 순서대로 국민은행에서 5억대출받고 (근저당 설정) 세입자가 보증금 1억에 월세들어오고 저축은행에서 1억을 더 대출을 받았다고 치자. 그리고 아파트 담보로 지인한테 2억을 더 빌렸다고도 하자. 만약 집주인이 국민은행이나 저축은행의 대출 원리금을 내지 못하고 있다면. 은행에선 경매를 신청해서 채권을 회수하려고 할텐데.. 이때 가장 먼저 설정된 국민은행의 근저당이 말소기준권리가 된다. 그래서 이후 이 아파트에 있던..

부동산 2023.04.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