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일단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하면
의사 라이선스가 주어지는데.
이는 일반의라고 함.
보통은 여기서 머물지 않고
다음 단계로 가는데.
그게 전문의 임.
일반의도 쉽지 않지만
전문의는 당연히 더 어려움.
일단 인턴이라고 해서
1년을 하고
그담에 레지던트 라고 하는
전공의를 과에 따라
3~4년을 한다.
(3년- 가정의학, 예방의학, 결핵과/
그외 4년)
이렇게 해서
내과나 정형외과 같이
개업할때 과를 걸수 있는
전문의가 되는 것.
말 그대로 해당 분야의 전문 의사임.
여기서 더 나아가면
펠로우 - 라고 해서
전임의 과정을 하는데.
빅5같은 대학병원등에서
진료를 하며 실습을 하는 기간을 1~2년 더 거친다.
반응형
계산해보면..
의대 6년에
인턴 1년 (수련의)
레지던트(전공의) 4년
벌써 11년이 되야 전문의가 되는거고
깊이를 위해서
펠로우(전임의)까지 하면 12~13년이다.
20살에 의대를 가도
소위 전문가로 인정받는
전문의사가 되는 나이가 32~33임.
여기에 남자는 군대도 가야함.
군의관은 3년임.
그럼 36살...
의사 한명 나오는거..
쉽지 않다.
728x90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턴 1년, 레지던트(전공의) 3~4년, 펠로우..총 10~12년.. 빨라야 10년. (0) | 2024.04.09 |
---|---|
의대는 6년동안 공부만 할까. 예과, 본과.. 폴리클. GP(일반의) (0) | 2024.04.08 |
의대졸업 후 .. 일반의? 쁘띠? (0) | 2024.03.25 |
미국 슈퍼볼은 어쩌다 한명 나오는데 한국 로또는 왜 여러명 나올까. (0) | 2024.03.18 |
보일러 새로 깔았는데 난방하면 뚝! 뚝! 하는 소리가 난다. 원인과 해결방안은?? (3)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