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물, 집, 빌라 지을때 필요한 도로 사이즈? 폭? 접하는 면? 맹지?

TenTube 2023. 2. 10. 14:52
728x90
반응형

집등 건물을 지을때는

도로에 접해야 한다.

그래야 건축허가가 남.

 

도로가 없는 땅을 맹지라고 하는데.

이런땅에는 뭘 지을 수가 없다.

그냥 눈으로 볼때는

필지가 나눠진게 안보이니까.

맹지니 뭐니 알수 없지만.

 

도로에 접하지 않으면

결국 남의 땅을 통해서 가야하는데

그 땅 주인이 통과를 허락하지 않는다면.

원칙적으론 맹지에 접근할 방법이 없다.

 

접근할 수 없으니

집도 못짓는것.

 

그럼 아무 도로에나 접해있으면 될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그렇지 않다.

길이 너무 좁아도 안되지만

너무 넓어도 곤란하다.

반응형

지목이 도로도 아니고

그냥 임야의 오솔길에 닿아있다고

집을 지을 수 없다.

 

고속도로에만 접해있어도

역시 집을 지을 수 없다.

고속도로를 통해서

집으로 들락날락 할수는 없지 않은가.

 

사람만 겨우 다니는 길도 안되고

차만 쌩쌩 다니는 길도 안된다.

 

그럼 집을 지으려면 어떤 길에 접해야 하나.

일단 차와 사람이 다닐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폭이 4미터가 넘어야 한다.

 

접하는 길이도 살짝 닿아서는 안되고

2미터이상 접해야 한다.

주차를 감안하면 3미터이상은

접해야 건축허가가 난다.

이렇게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도로로는 

도시계획시설도로, 도로법상도로(국도, 지방도)

사도(개인소유 도로), 현황도로가 있다.

 

일단 폭 4미터는 필요조건이고

이 도로가 사도일 경우는

해당 땅주인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런 조건들이 다 채워져야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것.

 

그리고 만약 빌라(다세대)를 짓는다면

세대수만큼 주차장도 확보를 해야 한다.

보통 1층을 필로티 구조로 해서

이중주차로 주차장을 확보하는데

이경우 도로에 접하는 면이 14미터는 되야 한다.

 

그래서 땅모양이 중요한것.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땅으로

넓은 면이

도로에 접하는 땅이 좋다.

(물론 사용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기획부동산에서 

분필해놓고

집도 못짓는

길도 없는 땅을 파는 경우가 있는데..

잘 보자.

 

물론 길만 있다고 다 지을 수 있는건

아니고 

해당 필지가 어떤 용도지역인지도 봐야함.

그건 담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