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전세사기관련 뉴스가 나오다보니.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는데..
그중에 오늘은
보증금을 집주인이 다른데써서
못돌려주니
공탁을 해서
그러지 못하게 막자.
또 집값대비 과도한 전세보증금이 문제니까.
70%이상은 못하게 하자.
이거는..
쪼금만 생각해보면
힘들지 않을까..
일단
집주인이 다른데써서
돈을 못돌려주니까
이걸 첨부터 다른데 못쓰게 하자??
다른데 써도
잘돌려주는 집주인도 있고
다른데 쓰지 않았어도
못돌려주는 집주인도 있다.
첨부터 전세끼고 집을 사서
보증금으로 돌려막던 사람들도 있는긴데.
전세금을 어디에 쓰건
그건 집주인 맘 아닌가.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그돈을 가만히 갖고만 있나.
하다못해
누군가에게 사업자금을 빌려줘도.
그 사람이 그걸로 밥을 사먹을수도 있는거 아닌가.
만기때 잘 돌려주면 되고
못돌려주면
경매라는 제도가 있는데
뭔 공탁???
그럼 누가 전세를 놓지?
아마 전세가 더 없어지고
월세로 돌아가고.
그러다 외국처럼
주세로 바뀔듯??
가진자와 못가진자로
더 나뉠꺼 같은데??
뭐든 경쟁력을
높이려면
공급이 많아지는건데..
집값의 70%도 애매함.
이젠 10~20%가 거의
국룰처럼 된 상황에서.
집값에 따라 70이든 80이든
시장에서 조정이 될텐데..
1억짜리 집을 7천에 전세놨다 치자.
집값이 2억되면 1.4억을 전세로 받았다가.
다시 1억이 되면 7천 내주고
머 그래야 하는건가.
작정하고 치는 사기야
그렇다치고.
선순위대출이 있는
집에 전세 들어가는걸
조심시키는
교육이 더 필요하지 않나 싶다.
여튼
지금은 세입자도 전세를 불안해하고
향후에도 자꾸 잡으려는 분위기니
월세가속화만 더 빨라질듯.
월세내기 힘드니
진짜 크던 작던
집부터 사야 하는 시기인거 같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소기준권리, 말소기준등기 - 권리분석! (0) | 2023.06.11 |
---|---|
금리와 부동산. (0) | 2023.05.27 |
전세끼고 집사던 시절..비율 50%, 갭투자? 전세투자? (0) | 2023.05.07 |
길은 길인데..사도?? 전원주택? (0) | 2023.05.05 |
부동산 경매를 앞두고 권리분석 후 현장 방문한다면..전입세대 열람부. (1)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