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와 부동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실 다른것도 마찬가지긴 함.
대부분의 자산은 금리와 반대방향임.
주식도 그렇고.
코로나 전만해도
저금리가 계속 될줄 알았다.
물가도 그리 오르지 않았고.
물가만 보면
미국도 거의 40년간 평온했음.
여튼
코로나로 돈을 풀었고
돈이 흔해지고
저금리라..
많은 자산들이 올랐었다.
부동산도 그랬다.
거기다가
더 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소위 영끌까지 하여
일단 지금 시점에서 보면
정점을 찍었었다.
그리고 물가가 오르니
각국은 금리를 올리고
특히 미국이 올리니
우리도 올릴수 밖에 없어서
올렸고..
부동산은 하락하기 시작했음.
물론
자산의 상승 하락하는 이유가
금리 딱 하나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큰 영향이라는건 두말할 필요는 없다.
그럼 앞으론 어떻게 될까.
지금은 하락은 멈춘거 같다.
그럼 금리는??
그만 떨어지는건 모르겠지만.
일단 그만 올리거나
적어도 전처럼 자이언트 스텝같은건 안할거 처럼
보인다.
내려갈꺼라는 의견이 많긴한데..
그럼 다시 아파트 가격이 올라갈까???
만약 금리가 내려간다고 해도
시장에 돈이 막 풀리진 않아서
전처럼 올라갈꺼 같진 않다.
그리고 다들
최근에 데인 경험들이 있어서
이젠 금리가 낮다고 서둘러
집을 사진 않을듯.
그런데 금리도
낮아진다라는 보장도 사실 없다.
물가가 위태한 수준이라.
인플레이션과 미국과의 금리차이를
생각하면
낮추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오히려 올려야 할꺼 같긴한데.
그거 역시 어렵다.
만약 금리를 동결하거나
약간 낮췄는데
물가가 다시 막 올라간다??
그럼 다시 고금리로 갈지도 모르겠다.
만약 어느정도의
고금리가 다시 온다면..
집을 팔거나 전세주려는 건 많아질꺼고.
월세주려는건 줄어들꺼다.
반대로
무주택자나 세입자는.
고금리에 집을 안사려고 할꺼고
임차역시
고이자 전세자금 대출 받느니
월세를 선호할수도 있겠다.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없다면..
가격은 하락한다.
매매전세는 하락하겠지만.
월세는 찾는 사람이 많으니 오를듯.
이래저래 주거해결이 쉽지 않아보인다.
상황을 예의있게 주시하자.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경매에 관해..간단 체크, 최저가 입찰, 권리분석, 인수권리, 등기에 안나오는 권리들.. (0) | 2023.06.22 |
---|---|
말소기준권리, 말소기준등기 - 권리분석! (0) | 2023.06.11 |
전세 공탁? 보증금 유용 제한?? 과연?? (1) | 2023.05.09 |
전세끼고 집사던 시절..비율 50%, 갭투자? 전세투자? (0) | 2023.05.07 |
길은 길인데..사도?? 전원주택?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