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로 5

시골집, 전원주택..과연?? 도로문제. 축사?

얼마전에도 전원주택관련해서주절대봤는데. 추가로 더 생각나는게 있어서.알고리즘으로 전에 본 유튜브 내용에공감가는 것도 있고. 전원주택 장점은 다들느낌아니까일단 패스하고. 원래 갖지못한 뭔가를원할때는 장점밖에 생각안나서.다른의견, 반대의견도 들어봐야중립기어를 박는데 도움이 됨. 일단 도로문제다.도시에서는 잘 못느끼는데.시골의 경우집의 진입로가농기계 다니는 길이거나 하다보이1차선 도로가 많다. 그게 일방일리도 잘없고차한대야 그냥저냥 지나가지만. 맞은편에서 차가 오면비켜주거나 양보받거나경우에 따라 후진해야 할 수도 있다.일단 이거도 불편한데.. 어쩌다 한번이야 서로 양보하고 그럴수 있는데. 계속 맞부딪히는데상대는 한번도 양보를 안한다면?? 농기계나 트럭이 애매하게 걸쳐있거나길막하고 있다면??만약 개인소유땅위의 ..

주절스 잡스 2024.08.23

길은 길인데..사도?? 전원주택?

보통 도로.. 길은 공용이다. 우리가 흔히 다니는 차도나 인도는 개인소유가 아니라.. 국가나 지자체 소유로 고속도로 같은 유료도로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닐 수 있다. 그런데.. 그런 길은 길인데.. 사도와 현황도로라는게 있다. 먼저 사도는 개인소유의 도로를 의미한다. 잉?? 도로가 개인꺼라고?? 보통의 서울같은 시가지에서는 보기 힘들고. (어차피 이름표를 붙여놓은것도 아니니) 어디서 주로 보이냐 하면 지방의 전원주택지에서 보통 보인다. 큰 필지를 하나 사서 10개의 전원주택 택지로 분할한다고 했을때 정문부터 각 집까지 도로를 사도로 까는 것. 분양할땐 사도도 10개택지 공동지분으로 하겠지. 그럼 그 도로는 보통은 전원주택 거주자들만 이용하게 될것. 특정 소수만 이용하는 사도임. 전원주택단지내는 ..

부동산 2023.05.05

건축을 하려면 도로에 접해야 하는데..고속도로는?? 도로가 있는데 맹지?

건축을 하려면 도로에 접해야 하는데..고속도로는?? 도로가 있는데 맹지? 도로는 여러 종류가 있다. 사람만 다니는 길도 있고 차만 다니는 길도 있고 오토바이는 못다니는 자동차전용도로도 있고 고속도로도 있고. 오솔길도 있고.. 집등 건축물을 지으려면 도로에 접해있어야 한다. 이게 눈으로 볼때는 다 도로의 형태지만 건축에 필요한 도로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일단 건축을 하려면 사람과 차가 통행가능한 도로에 접해있어야 한다. 물론 규격도 있다. 일반적으로 폭이 4미터 이상은 되야 한다. (예외적으로 짧은 막다른 골목은 2미터도 허용되긴 함) 도로에 접해있지 않는 땅을 맹지라고 한다. 사람이 잠깐 그냥 남의 땅을 밟고 지나서 맹지에 갈수는 있지만. 차로는 가기가 힘들다. 결국 이런 토지는 아무것도 할 수 없..

부동산 2023.04.16

국가기간교통망계획(안), 제 2외곽순환도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안) 을 알고 싶어짐. 20년 단위로 계획하는거 같고. 현재는 2012-2040 계획. 철도, 도로인데.. KTX, GTX 등과 제2외곽순환 등 새로 생기는 고속도로 등을 공부하면 어디가 어떻게 변해갈지 좋아질지 나빠질지. 대충이나마 그림을 그려볼 수 있지 않을까. 항만과 공항도 있고. 물류도 있고. 오호. 난 개인이니 일단은 그냥 도로, 철도를 중심으로! 여튼 현 계획은 주요도시를 2시간에 이동하게끔. 2025년까지는 계획일꺼고. 여튼. 광역철도 41개. 광역도로 25개, BRT(광역 간선급행버스) 12개- 이거 성남. 이쪽인거 같은데 환승센터 44개..(환승이 많네) 생각보다 철도가 많다. 도로가 많을줄 알았는데. 광역철도 연장이 3배이상 확대되는구나. 서울이 커지는 효과가 있겠다...

부동산 2023.03.17

건물, 집, 빌라 지을때 필요한 도로 사이즈? 폭? 접하는 면? 맹지?

집등 건물을 지을때는 도로에 접해야 한다. 그래야 건축허가가 남. 도로가 없는 땅을 맹지라고 하는데. 이런땅에는 뭘 지을 수가 없다. 그냥 눈으로 볼때는 필지가 나눠진게 안보이니까. 맹지니 뭐니 알수 없지만. 도로에 접하지 않으면 결국 남의 땅을 통해서 가야하는데 그 땅 주인이 통과를 허락하지 않는다면. 원칙적으론 맹지에 접근할 방법이 없다. 접근할 수 없으니 집도 못짓는것. 그럼 아무 도로에나 접해있으면 될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그렇지 않다. 길이 너무 좁아도 안되지만 너무 넓어도 곤란하다. 지목이 도로도 아니고 그냥 임야의 오솔길에 닿아있다고 집을 지을 수 없다. 고속도로에만 접해있어도 역시 집을 지을 수 없다. 고속도로를 통해서 집으로 들락날락 할수는 없지 않은가. 사람만 겨우 다니는 길도 안되고 ..

부동산 2023.02.10
반응형